[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의 의의와 현황
1.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의 개념과 프로세스
2. 국내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 추진현황
제3장 리빙랩의 의의와 국내외 사례
1. 리빙랩의 개념과 프로세스
2. 국내 사례
3. 국외 사례
4. 시사점
제4장 치안현장 문제해결형 R&D사업의 운영방안
1. 치안현장 문제해결형 R&D사업의 의의
2. 치안현장 문제해결형 R&D 추진체계
3. 치안현장 문제발굴 및 통합기획
[요약]
이 연구는 치안현장의 문제를 해결하여 국민들의 기대수준에 부응하기 위한 “치안현장 문제해결형 R&D 사업의 운영방안”제시를 궁극적 목표로 한다. 특히, 최근 사회문제해결형 R&D의 실천방법으로 시민, 사용자 참여형 R&D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리빙랩 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치안분야 연구개발사업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연구결과를 관련 연구개발 과제수행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국내외 리빙랩 사업 및 치안관련 사회문제해결형 R&D 사업 사례를 수집ㆍ분석하여 한국형 리빙랩 기반 치안현장 문제해결형 R&D 사업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추진체계와 세부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급격히 변화하는 치안환경에 전략적ㆍ탄력적ㆍ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치안현장 문제 해결형 R&D 사업추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사회문제 해결형 R&D 사업 및 리빙랩 운영사례를 검토하여 치안분야 R&D 도입가능성 및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사업의 당위성을 제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이 과제를 통해 성공적인 치안현장 문제해결형 R&D사업의 수행으로 치안관련 연구개발 사업과 치안현장 니즈의 격차를 해소하고, 수요자(일반시민), 사용자(경찰), 공급자(연구자ㆍ기업)간의 공감대 형성의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더불어 치안분야 리빙랩 기반 R&D 사업은 치안관련 연구개발 사업성과의 확산을 도모하는 것도 연구의 성과로 기대해볼 만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