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

치안논총

제목
제32집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네트워크 강화 방안
제32집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네트워크 강화 방안_글작성정보 및 첨부파일에 관한 내용 보기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09-12
첨부파일

5.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네트워크 강화방안(정육상, 박주상).pdf

[목차]

[ 목   차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범죄피해자 보호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사회연결망 이론

제3장 연구의 설계

 제1절 연구의 모형

 제2절 조사의 설계 

 제3절 분석의 기준

제4장 분석의 결과

 제1절 강력범죄피해자 보호의 사회연결망 분석

 제2절 성폭력 범죄피해자 보호의 사회연결망 분석

 제3절 가정폭력 범죄피해자 보호의 사회 연결망 분석

 제4절 학력폭력 범죄피해자 보호의 사회연결망 분석

 제5절 전반적 범죄피해자 보호의 사회연결망 분석

제5장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 

네트웨크의 개선방안

 제1절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네트워크상에서 역할 확대

 제2절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네트워크 상의 협력대상

 제3절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네트워크에서 경찰의 역할

제6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시사점

 제2절 연구의 한계

[요약]
본 연구는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에 있어서 관련 이해관계자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범죄피해자 보호 협력활동 영역별로 파악해 볼 것이다. 여기서 이해관계자들간 상호작용은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이용하며 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밀도와 연결중심성,인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등의 지표를 사용하고 각 범죄 유형별로 네트워크에서 경찰의 위치를 도출하고 그 역할에 논하고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통하여 경찰의 구조적 위치를 면밀히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경찰의 역할에 대해 논하여 보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