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제1장 전체 연구개요와 추진체계
제1절 전체 연구개요도
제2절 연구 추진 체계
제2장 연구목적 및 필요성
제3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분노/충동성 관련 개념
제2절 분노/충동 범죄 관련 임상 유형
제3절 문노/충동 범죄
제4장 세부 연구내용
제1절 분노/충동범죄의 촉발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문헌연구
제2절 한국판 분노/충동 판별 척도 구성 연구
제3절 한국판 분노/충동 질문지(K-AIQ)의 판별 타당성 연구
제4절 한국판 분노/충동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 제안
제5장 연구기간 및 추진일정
제6장 참여연구원 현황
[요약]
본 연구는 현재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분노/충동 관련 범죄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범죄 대응방안 수립 및 사전에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범죄로 이어지는 분노/충동 조절 실패 촉발요인과 이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분노/충동 범죄 관련 범죄자를 유형화하여 구별하고, 잠재적 범죄 대상군을 사전에 변별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국외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국내 실정에 맞게 타당화하고, 이를 다양한 척도와 비교 분석하여 문항을 축소하였다. 이후 개발된 측정도구가 분노/충동 대상자와 일반인을 적절하게 변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교도소에 수감된 범죄자를 대상으로 판별기분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