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2장 성폭력범좌와 전문가 협력체계
제1절 성폭력범죄
제2절 성폭력범죄와 전문가 협력체계
제3절 외국 성폭력범죄 전문가 협력 현황
제4절 한국 성폭력범죄 전문가 협력 현황
제5절 성폭력범죄와 경찰
제3장 설문조사
제1절 설문지
제2절 설문조사 과정과 응답자 특성
제4장 연구결과
제1절 성폭력범죄 전문직 협력체계 인식
제2절 성폭력범죄에 대한 인식
제3절 경찰에 대한 인식
제4절 전문가 협력체계 업무 효과성
제5장 논의 및 결론
제1절 분석결과 요약
제2절 효과적 전문가 협력체계 구축 방안
제3절 경찰의 역할과 과제
제4절 결론
[요약]
본 연구는 성폭력범죄 대응을 위한 경찰과 사회서비스직의 효과적인 전문가 협력체계 구축 방안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경찰의 역할과 과제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여 경찰을 포함한 전문가 협력체계를 설제 운용하고 있는 성폭력 대응 전문기관인 해바라기센터(전국 34개)의 실무자( 경찰을 비롯하여 상담원, 사회복지사, 심리치료사, 임상심리전문가, 간호사 등)를 대상으로 2015년 7월20일부터 3주간 전수조사 실시하였으며
성폭력대응을 위한 경찰과 사회서비스직의 효과적 협력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협력체계에 참여하는 타전문직의 특성과 업무를 상호 이해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과 전문가 협력체계의 조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며 경찰관 스스로 전문가 협력체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며 주도적이고 책임감있게 근무할 필요가 있다. 성폭력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수사 및 증거확보의 노력은 다전문직 간의 협력체계를 활용한 대응 노력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