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

치안논총

제목
제35집 범죄피해자를 위한 경찰 위기개입 모델 연구
제35집 범죄피해자를 위한 경찰 위기개입 모델 연구 _글작성정보 및 첨부파일에 관한 내용 보기
작성자 전 ** 등록일 2019-06-17
첨부파일

치안논총(제35집 제1편-범죄피해자를 위한 경찰 위기개입 모델 연구).pdf

[목차]

제1장 경찰단계 범죄피해자 위기개입 모델 개발의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2. 연구 절차 및 방법
  3. 연구의 기대 효과
 
제2장 범죄피해자를 위한 근거기반 경찰 위기개입 모델 개발
  1. 범죄피해자를 위한 경찰 위기개입의 개념 정의
  2. 범죄피해자의 특성
  3. 범죄피해 트라우마 위기개입
  4. 범죄피해자 지원업무시 경찰의 심리적 특성
  5. 국내 경찰의 범죄피해자 지원현황 및 요구
  6. 범죄피해자 지원을 위한 근거기반 경찰 위기개입 모델(P7-CARE)
 
제3장  범죄피해자를위한 경찰 위기개입 모델(P7-CARE) 지침서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트라우마를 겪은 직후에 피해자의 심리적 상태가 단계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현재까지 트라우마학 분야에서 밝혀진 바에 따라 소개하면서 경찰의 초기 대응이 피해자의 이후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중요하게 떠오르는 인권의 이슈를 경찰의 활동에 접목하는 데 있다. 인권이라는 말 자체는 논의가 필요가 없을 만큼 상식적이고 당연한 듯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적용이 매우 모호하고 어려운 개념이다. 인권을 정의하는 이론도 여러 가지고 인권을 존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인권을 해석하는 방식이 각자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피해자의 인권 보호’라는 표현은 매우 상식적이고 당연한 듯하지만 그것을 경찰의 직무 활동 중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는 모호하다. 이 연구에서는 범죄피해자의 인권을 심리적 회복의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경찰이 범죄피해자들을 지원하고 돕는 과정에서 피해자들이 정신건강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인권의 보호와 배려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