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체력의 정의 제2절 체력요소의 분류 제3절 일반인의 체력테스트에 대한 선행연구 제4절 학생 체력테스트 제5절 특수 직무 체력테스트제3장 연구방법 제1절 문헌연구 및 실태조사 제2절 모의실험(Simulation) 제3절 체력측정제4장 경찰체력평가 제1절 체력측정 결과 제2절 체력측정 결과 분석 제3절 체력 검정 종목선정 및 기준치제5장 경찰 직무 체력검사 제1절 경찰 직무 체력검사 목적 제2절 경찰 직무 체력검사 개발제6장 경찰 체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1절 운동 트레이닝의 원리 제2절 운동처방의 원리 제3절 운동처방을 위한 개인별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의 설계안 제4절 운동처방을 통한 개인별 근력운동 프로그램의 설계안 제5절 경찰 직무관련 체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제7장 경찰 체력검진 시스템 구축 제1절 국민체력센터 제2절 보건소 제3절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증진센터 제4절 대학 체력 검진 시스템 제5절 경찰 자체 검진 시스템 및 검진 시스템 비교 평가제8장 기대효과, 활용방안 및 제언 제1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절 제 언참 고 문 헌
[요약]
민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 같은 막중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는 경찰관 개개인의 자질 향상과
경찰조직의 지속적인 강화 및 경찰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경찰관의 수는 약 10만 명 정도로서 국민 총인구에 대비하여
선진국 경찰수준에 턱없이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여
각종 대민 치안사업을 해야 하는 과중한 경찰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점을 고려해 볼 때에
경찰 조직 강화에 앞서 경찰관 개개인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개인별체력 상태를 파악하여
일반 국민 또는 다른 특수 임무 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경찰관의 체력과 건강 수준이
어느 상태에 있는가를 확인하는 일이며, 이를 근거로 경찰관의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며 동시에 건강을 위한 체력유지 및 증진에 필요한 시설을
확충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